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20세기를 빛낸 사진가56

리 프리들랜더 (Lee Fried Lander :1934~) 미국 워싱턴주 에버딘에서 출생. 1948년 부터 사진을 시작. 1953년 부터 1955년 사이 LA의 아트센터에서 사진을 배운다. 그후 에스콰이어를 비롯한 여러 잡지에 사진을 기고. 1960년 구겐하임의 예술 지원금을 받아 1962년까지 변모해가는 미국 풍경을 찍는다. 1963년 조지이스트만 하우스에서 첫 개인전. 1966년 조지이스트만 하우스에서 현대사진가 5인전 1967년 현대미술관에서 뉴 다큐멘타리 3인전 1967년 공동 작업실의 작업 1970년 자화상 1976년 미국의 기념물 1978년 사진 1982년 공단 등의 사진집 출판 온라인 사진학교 바로가기 그의 사진 세계는 미국 다큐멘타리 사진의 계보를 계승 하지만 표현 형식에서는 브레송의 결정적 순간의 미학을 새롭게 극복한 것이다. 소형 카메라에 의한.. 2023. 5. 14.
로버트 아담스(Robert Adams) 1937년 미국 뉴저지에서 태어났다. 어린시절 아담스는 천식을 앓았다. 그의 부모는 그를 위해 여러곳을 옮겨 다녔다. 어린시절 자연속을 많이 돌아 다녔던 그의 경험이 흣 날 그의 사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어린 시절부터 로버트 아담스는 풍경과 환경 보존에 관심을 키워 왔다. 1971년 부터 사진을 선보이기 시작 한다. 1973년 구겐하임의 후원금을 받는다. 로버트 아담스는 산업화, 도시화로 인하여 변모하기 시작한 도시의 외곽 풍경을 단순한 형태로 기록 한다. 그릐 사진을 새로운 풍경사진(New Topography) 이라 부른다. 뉴 타포그래피라는 이름은 1975년 조지 이스트만 하우스에서 기획한 전시 제목 이었다. 온라인 사진학교 사진가 강의 바로가기 1974년 콜로라도 대학 출판사에서 나온 그의 첫 .. 2023. 5. 14.
윌리암 이글스턴(William Eggleston 1939~) 18살에 처음으로 흑백사진을 찍고 사진가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정규 교육을 받은 적은 전혀 없다고 한다. 1966년부터 미국의 서남부 지방을 돌아다니며 이 지역의 일상거리 풍경을 카메라에 담았다. 이듬해 뉴욕 현대 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의 사진 큐레이터인 존 사코우스크를 만난다. 그의 재능을 알아본 사코우스키는 1976년 현대 미술관에서 전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바로 이전시에서 컬러사진을 예술 매체로 인정하게 한 결정적 계기가 된다. 컬러사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윌리암 이글스톤은 다이 트랜스퍼 프린트(Dye Transfer Print)를 사용해 자신만의 컬러 세계를 펼친다. 이 방법은 색상을 영구적으로 보존될 정도로 보존력이 좋고 색감을 풍부하게 하는데도 유용하.. 2023. 5. 14.
위지 (Weegee) 본명은 아서 펠리그(Ascher Fellig) 우크라이나(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난다. 10세때 미국으로 이민을 간다. 집안은 매우 가난 하였다. 가족 생계를 위해 학교를 그만두고 사진기사 조수로 들어가고 1924년 통신사 암실 기사로 입사후 몇년 지나 사진기자가 된다. 1935년 프리랜서 기자로 일 하기 시작 특종 사진을 찍기 위해 각종 사고 현장을 다니며 촬영을 한다. 뉴욕의 범죄 조직을 훤히 꿰뚫고 있을 정도로 철저하게 준비가된 사진가 다. 경찰 무전을 도청해서 사고 현장에 경찰보다 먼저 나타난다. 1945년 그동안 촬영한 사진을 정리 “벌거벗은도시(Naked City)를 출판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 진다. 이사진집은 할리우드에서 영화화 되어 세미 다큐멘타리 영화의 선구적인 작품이 되었다. .. 2023. 5.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