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9

브루스 데이비슨(Bruce Davidson) 친구 따라 놀러 간 친구 집 암실에서 본 사진에 충격을 받고 사진에 관심을 갖는다. 열 살 때 신문 배달해서 번 돈으로 카메라와 암실 장비를 구입할 정도로 사진 매력에 빠진다.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진을 찍기 시작한다. 1958년 매그넘 포토에 가입하고 1970년 다큐멘터리 사진집 "동부 100번가(East 100th Street)를 출판한다. 동부 100번가는 스페니쉬 할렘가의 어느 빈민촌에서 1년 이상 동안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 사진에서 거친 생활환경을 철저히 폭로한다. 20세기를 빛낸 사진가 사이트 사진에 나온 빈민가 사람들은 가난했지만 궁핍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대부분 무감동한 표정이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전혀 없는 표정 들이다. 그의 사진에서는 거리의 황폐함으로 인해 마비되거나 정신적으.. 2023. 8. 17.
데이빗 시모어(David Seymour : 1911 ~ 1956) 유태인으로 폴란드에서 태어났다. 1929년부터 2년 동안 라이프치히 공예학교에서 사진과 디자인을 공부했다. 파리로 건너가 1933년 프리랜서 사진가로 활동을 시작한다. 스페인 내전, 체코슬로바키아와 다른 유럽 지역의 사건 취재로 명성을 얻는다. 특히 아이들을 대상으로 감동적인 촬영한 사진가로도 유명하다. 20세기를 빛낸 사진가 1939년 2차 대전 발발로 스페인 피난민들의 멕시코까지의 이동을 기록했고 1940년 미국 사진병으로 입대했지만 부모는 나치에 의해 죽음을 당한다. 전쟁 후에는 유네스코 소속으로 피난민 아이들의 생활을 카메라에 담는다. 1954년 로버트 카파가 죽은 뒤 매그넘 회장직을 지냈지만 자신도 1956년 수에즈 전쟁 촬영중이집트군이 쏜 총에 맞아 죽는다. 2023. 8. 17.
베르너비숍 (Werner Bischof : 1916 ~ 1954) 스위스출생 1932년부터 1936년까지 취리히 공예학교에서 수학한다. 신즉물주의 사진에 몰두했던 한스 핀슬러가 그의 멘토였다. 그의 영향을 받아 초기 작업에서는 정밀한 배치를 바탕으로 완벽한 패션 사진과 정물 사진을 추구했다. 20세기를 빛낸 사진가 1942년 스위스에 있는 잡지 두의 직원이 되어 패션 사진가로 활동했으며 1945년 유럽 전역을 여행하면서 전쟁 후의 폐허를 기록한다. 그 후 국제언론에 관심을 갖게 되고 1949년 매그넘 회원이 된다. 보도사진으로 전향하면서도 그의 특유의 완벽한 기술과 창의적인 빛의 사용 및 구도의 형식미에 대한 감성은 계속 이어졌다. 1951년 라이프지의 의뢰를 받고 인도 북부와 중앙의 비하르 지방의 빈곤 지역을 방문했다. 그 결과물로 만들어진 “인도의 기근”은 그를 세.. 2023. 8. 17.
에드 반 데어 엘스켄(ED Van Der Elsken : 1925 ~ 1990) 네덜란드에서 출생 1947년 사진에 입문한다. 1950년 파리로 간다. 파리에 있으면서 파리 서안의 생 제르맹 데프레 지역에 관심을 갖는다. 그곳 거리에 있는 카페의 삶은 그를 매료시켰다. 1953년 카페 사진을 책으로 출판할 것을 조언하는 에드워드 스타이켄을 만난다. 20세기를 빛낸 사진가 1956년 "Love on the Left Bank"(서안의 사랑)이란 책이 네덜란드어, 독일어, 영어 판으로 출판된다. 서안의 사랑은 1950년대 파리의 음식, 와인, 그리고 숙박 가격을 알려주는 대안적인 가이드북 같은 책이기도 했다. 밤의 파리를 촬영한 브랏사이의 파리는 장소 그 자체에 주목했지만 엘스켄의 파리는 온갖 생명력이 꿈틀대는 하나의 배경이었다. 복잡한 상호 관계로 얽힌 파리의 시민들은 음주, 흡연, 희.. 2023. 8. 17.
랄프 깁슨 (Ralph Gibson : 1939 ~) 1939년 LA에서 태어난다. 뮤지션을 꿈꾸었으나 부모의 이혼으로 모든 것을 포기. 1956년 미 해군에 지원 입대, 해군 사진학교에서 사진을 배운다. 1959년 제대 후 샌프란시스코 예술대학에서 사진을 배운다. 아카데미 사진에 매료되지 못한 그는 도토리랭의 조수로 들어가 경력을 쌓기도 했지만 오래 버티지 못하고 프리랜서 길로 들어간다. 1966년 뉴욕으로 옮긴 후 처음 만난 사람이 브루스 데이비슨이었다. 그의 추천으로 매그넘 준회원이 된다. 그것도 적응 못하고 그만두고 로버트 프랭크의 조수가 되어 영화 제작에 참여한다. 그의 대표작으로 몽유병자(1970), 바다기행(1973), 데자뷔(1975), 4 분할, 조건반사 등이 있다. 그의 사진적 특징은 유럽적 경향의 건축적 단순함과 초현실주의적 감각을 잘 .. 2023. 8. 17.
Mary Ellen Mark 마리 엘렌 마크 (1940~) 1940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난다. 9세부터 박스 브로니 카메라로 사진을 찍기 시작. 1962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페인팅 앤드 아트 히스토리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포토 저널리즘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세기를 빛낸 사진가 1967 뉴욕으로 이사했고 이후 몇 년 동안 베트남 전쟁과 여성 해방운동, 여장 남장 문화, 그리고 타임스퀘어 등을 촬영한다. 사회 변두리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극적이고 상징적인 이미지로 담아낸 이 시대에 영향력이 있는 다큐멘터리 사진가다. 포토 저널리즘에 속하는 사진이지만 결코 세상을 비정하게 보지 않았다. 그렇다고 동정심을 건네야 한다는 전통적인 휴머니즘도 아니다. 독특한 개성과 사진의 예술성 때문에 저널리즘과 다큐멘터.. 2023. 8. 17.
다이안 아버스(Diane Arbus) 1923년 뉴욕에서 태어난다. 처음에는 패션 사진가로 활동한다. 50년대 말 리제트 모델을 만나 사진을 배운 것이 계기가 되어 순수사진으로 전향한다. 20세기를 빛낸 사진가 그의 대표작은 1960년대 10년 동안 이루어진다. 어린아이들, 장애인, 성적 소수자, 환자, 기형, 난쟁이, 거인 등 태어날 때부터 남다른 모습을 가진 사람들을 많이 촬영했다. 그들은 사진을 찍어도 개의치 않고 자신들의 행동에 몰두했는데 이러한 절대적인 몰입이 다이안 아버스를 매료시켰던 것이다. 아버스는 항상 박수갈채와 비난을 동시에 받았다. 그리고 시대적 금기로 여겼던 사진을 찍었다. 사람들을 피사체로 삼아 보다 깊은 시각으로 들어간 아버스 사진은 "미국의 도덕적인 타락과 그 붕괴의 쇼크를 표현한 가장 훌륭한 사진가"라는 평가를 .. 2023. 8. 17.
유섭 카슈(Yousuf Kaush : 1908~2002) 1908년 터키에서 출생했다. 가족과 함께 난민 이주로 캐나다에 정착한다. 어렸을 때 영업 사진사의 삼촌 밑에서 사진술을 배웠다. 그 후 미국 보스턴에서 당시 유명한 인물사진가 존가로의 문하로 들어가 수업한다. 1932년 캐나다로 돌아와 스튜디오를 오픈하고 활동한다. 20세기를 빛낸 사진가 ​ 1941년 캐나다를 찾은 윈스턴 처칠을 찍은 사진이 미국의 사진잡지 라이프지에 실리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사진역사와 함께하는 사진입문 사진품격(종이책) ►처칠 경 사진이 나올 수 있었던 에피소드 어느 날 윈스톤 처칠이 영 연방인 캐나다를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2차 세계대전의 영웅인 처칠이 온다는 것은 캐나다 국민들의 영광이었다. 처칠이 캐나다 국회에서 연설이 예정되어 있었는데 국회에서 잘 아는 사람이 .. 2023. 8. 1.
728x90
반응형